Constructed Island「구축된 섬」
지역 리서치 및 데이터 시각화
경기창작센터 레지던시 전, 2015
서해에서는 평균 12시간 25분마다 조석현상이 일어난다. 바닷물의 높낮이 변화는 주기적인 패턴을 가지고 계절과 날씨에 따라 시시각각 다른 풍경들을 연출하며, 이러한 패턴과 그 안에서 관찰되는 미세한 변화들은 자연에서 뿐만 아니라, 지역에서 사람들이 살아가는 일반적인 장소와 풍경들 속에서도 일상성과 비일상성이 혼재된 모습으로 복잡하게 나타난다. 특히 대부도는 오래 전부터 간척과 방조제 건설 및 주변 지역의산업단지조성 등으로 급격한 환경변화를 겪어온 곳으로, 서해개발 역사의 흔적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으며 현재에도 다양한 지역개발 계획들이 진행 중에 있어, 복잡성을 더욱 극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 작업에서는 대부도에 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지역의 다양한 자연적/인공적 장소와 풍경들을 발견하고 공간을 재구축하는 작업을 통해, 자연-인공, 도시-비도시, 개발-보존, 과거-미래 등 양 극단의 개념들이 섬이라는 장소에서 혼재되어 나타나고 있는 양상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지역 데이터의 시각화를 통해 현상학적으로 구축된 섬의 모습은 기존에 보여지던 대부도의 모습과는 다른, ‘자연’을 표방한 인공적인 도시와 같은 모습으로 드러나며,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개발 속에서 상이한 가치와 삶의 방식들이 끊임없이 충돌하는 여느 지역의 모습을 담아낸다.
On the western coast of Korea, tidal shifts occur approximately every 12 hours and 25 minutes. These regular oscillations in sea level generate ever-changing landscapes, subtly shaped by season, weather, and rhythm. The patterns of ebb and flow—while anchored in natural cycles—also manifest in the everyday environments and lived spaces of coastal communities, where the ordinary and the extraordinary coexist in complex ways.
Daebudo, an island located in the Yellow Sea, has long been subject to radical environmental transformations. Land reclamation projects, sea wall constructions, and the development of surrounding industrial zones have left visible imprints on the landscape, preserving the layered history of western coast development. Today, with ongoing regional development plans, the island continues to reveal the intensified contradictions and complexities of such transformations.
This project investigates Daebudo through a process of research and spatial reconstruction—mapping natural and artificial sites, and reinterpreting local landscapes. The work seeks to expose how polarities such as nature and artifice, urban and non-urban,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past and future, are not opposites but coexisting forces uniquely entangled within the island.
Through visualizations of regional data and phenomenological observations, the island emerges not as untouched nature, but as a synthetic ecology—a hyper-constructed landscape that claims “naturalness” while embodying the tensions of accelerated urbanization. In doing so, the work mirrors broader conditions found across rapidly changing regions: a collision of conflicting values, temporalities, and ways of life, all unfolding in one place.
------------------------------------------------------------
Supported by
경기문화재단, 경기창작센터
경기창작센터 레지던시 전, 경기창작센터, 2014
창작의 내일 전, 시도문화재단 창작공간 통합페스티벌, 2014
신지도제작자 전, 송원아트센터, 2015